“현 정부는 통일과 한반도 평화쟁취의 꿈을 꾸고나 있나, 그 방안을 모색하고는 있나”

입력 2016-08-15

여기저기서 위기론이 쏟아진다. 경제가 활력을 잃었고, 남북관계는 뒷걸음질치고 있는 데다 한·미·일 대 북·중·러의 대립구도가 두드러지고 있어서다. 19세기 말 주변 강대국 틈바구니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나라를 빼앗겼던 그 당시의 대외 상황과 비슷하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이런 얘기를 들을 때마다 궁금증이 인다. 1897년 조선이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바꿨을 때 백성들은 새 나라로 변신한다고 보았을까. 실질적인 국권 상실을 뜻하는 1905년 을사늑약에 협력했던 을사오적신(乙巳五賊臣)은 어떤 미래를 예상했을까. 1910년 경술국치 직전에 나라가 망한다고 생각한 사람들은 과연 얼마나 되었을까.

망국의 울분을 가눌 길 없어 죽음을 택하거나 해외망명을 꾀해 나중을 도모하려 했던 이들도 적지 않았다. 그런데 당시 대부분의 상층 엘리트, 특히 대한제국의 관료들은 혹 사태를 제대로 읽지도 못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그저 가문과 자신들의 안위를 먼저 챙겼던 것은 아닌지 그런 생각이 든다.

바로 지도자들의 도덕불감증 문제다. 요즘도 정치권을 비롯해 법조계 관계 재계 학계에 이르기까지 종종 드러나는 부끄러운 모습이다. 하물며 망국의 상황에서는 그런 이들이 훨씬 더 기승을 부렸을 터다. 더구나 그간 우리의 역사 기술이 선현들의 치부를 될 수 있는 한 건드리지 않았음을 감안하면 그 의심은 더욱 지울 길이 없다.

역사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 특히 나쁜 역사의 경우는. 아일랜드 출신의 4인조 록밴드 크랜베리스(The Cranberries)가 94년에 내놓은 곡 ‘좀비’ 2절에는 이런 대목이 나온다. “어머니들의 찢겨진 마음이 계속 이어져/ 폭력이 침묵을 낳으면서 말이야/ 우린 분명 뭔가 잘못된 거야/ 1916년부터 계속 똑같은 주제가 계속되고 있어.”

크랜베리스는 발표곡 ‘내 가족에 대한 시(Ode to my family)’의 첫 대목이 몇 해 전 개그콘서트의 ‘두근두근’ 코너에서 ‘썸 타는’ 남녀의 배경음악으로 쓰여 국내에서도 은근히 잘 알려진 그룹이다. ‘좀비’는 여성 보컬 돌로레스 오리오던의 독특한 창법 덕분에 유명하고 특히 1916년은 그해 부활절에 벌어진 아일랜드 독립무장봉기를 가리키고 있어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좀비’의 가사 역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데 핵심은 반전(反戰)이다. 독립을 쟁취하는 과정에서 죽임이 벌어지고 있는 데도 나와 내 가족의 문제가 아니라고 모른 체하는 사람들을 비난하기도 하고, 폭력에 침묵하는 행태가 아무런 생각이 없는 ‘좀비’들과 다를 바 없다는 은유를 담고 있다. 그럼에도 그 폭력 상황은 지금도 여전해서 자식 잃은 엄마들의 가슴이 계속 무너져 내리고 있다고 노래한다.

참담한 역사는 눈물로 복기하고 거듭 마음에 새겨 구체적인 실천으로 이어가지 않으면 반복적인 위기론만 입버릇처럼 되뇔 뿐 원하는 미래로 나아가기 어렵다. 게다가 나와 내 가족의 일이 아니라며 꼬리를 빼는 이들마저 도처에 적지 않으니 말이다.

이 대목에서 또 궁금증이 난다. 100년 전 선현들은 과연 광복을 내다봤을까. 1916년부터 내내 같은 주제가 이어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다시 의문이 앞선다. 게다가 45년 광복과 더불어 벌어진 남북분단이 이토록 질기게 이어질 줄 알았던가.

위기론에만 휩쓸려 땜질식 걱정만 해온 탓이 크다. 돌아가신 이영희 선생은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고 했는데 날개 이상으로 중요한 것은 머리 달린 몸통, 즉 미래를 향한 꿈이다. 현 정부는 진정으로 남북통일과 한반도 평화 쟁취의 꿈을 꾸고나 있나, 그 방안을 모색하고 있기는 하나. 후손들이 2016년 선현들은 뭘 생각하고 있었느냐고 물어오면 뭐라고 답할 참인가. 71번째 광복절 아침이 무겁게 다가온다.

국민일보 조용래(경제78) 편집인
jubilee@kmib.co.kr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502 [음악] 작곡가 사브리나의 오페라 갈라와 영화속의 클래식음악 OST file 중앙대총동문회 19.05.16. 2587
501 김판석(행정82) 능한 7·9급 공무원, 국장될수 있게…승진기회 확 넓힌다 총동문회 18.11.28. 997
500 작곡가 사브리나(작곡79)가 읽어주는 오페라 이야기 1 file 중앙대총동문회 19.03.25. 864
499 [조용래 칼럼] ‘오래된 미래’ 3·1운동 100주년을 맞다 총동문회 19.02.25. 858
498 조용래(경제78) 부끄러움의 건너편 file 중앙대총동문회 19.04.11. 818
497 어떻게 만들어온 원자력인데... 예서 그르칠 수는 없다! 너희들이 누구길래 ‘원자력없는 대한민국’으로 만들려 하는가 총동문회 18.08.02. 793
496 박시호의 행복편지 며느리에게보내는글(박시호의 행복편지) file 국중현 17.10.13. 779
495 중앙대병원 신경과 윤영철(의학93졸) 교수의 ‘암보다 무서운 치매’ 총동창회 18.03.26. 777
494 [조용래 칼럼] 2차 북·미 정상회담 외엔 길이 없으니 총동문회 19.02.12. 738
493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 티폰과 태풍 : 타이푼 등 총동문회 18.07.17. 700
492 우리 아이 자해(自害)하는지 확인하자 [출처] (교육칼럼) 우리 아이 자해(自害)하는지 확인하자 / 류시호 작가 | 총동문회 18.11.28. 680
491 [조용래 칼럼] 한국 사람은 무엇으로 사나 총동문회 18.08.02. 661
490 전기위원회, 어디로 가야 하나 file 총동문회 18.07.10. 651
489 [조용래 칼럼] 통일, 준비는 하되 입 밖엔 내지 말고 총동문회 18.08.13. 641
488 [조용래 칼럼] 한반도 대전환의 불씨 키워가려면 총동문회 18.09.10. 596
487 [조용래 칼럼] 한·일 불신 자초했거나 조장했거나 총동문회 19.02.01. 568
486 [조용래 칼럼] 대법 징용배상 판결 후 文정부의 전략은 총동문회 18.11.05. 558
485 [조용래 칼럼] 끝은 다시 시작으로 이어질 테니 총동문회 19.01.02. 556
484 [조용래 칼럼]日 배상책임 적시 못한 ‘한·일 청구권협정’ 한계성 지적 총동문회 18.11.22. 551
483 박기철 (광고홍보 79)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 - 영웅과 위인 : 영웅전이란 허구 총동문회 18.07.03. 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