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필맥스 홍재화입니다.

이 번에 저의 신간이 나와 소개합니다.

 

출판사의 보도자료를 첨부합니다.

 

 

a.png

 

 

심리학자들이 실험대상자들에게 아침에 20달러를 나눠주면서 그날 오후 5시까지 다 쓰라고 했다. 그 돈을 자신을 위해 쓴 사람과 남을 위해 쓴 사람 중 누가 더 행복감을 느낄까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당연히 자신을 위해 돈을 쓴 사람이 더 행복할 것 같지만, 그 결과는 놀랍게도 자신보다 남을 위해 쓴 사람의 행복지수가 더 높았다고 한다. 경제학자들은 이 현상을 ‘베풂의 따뜻한 빛’이라 부르고, 심리학자들은 ‘도움을 주는 사람의 기쁨’이라고 부른다. 이는 제 몫 챙기기에만 바쁜 이기적 동물로 알려진 사람들의 내면에는 타인을 도움으로써 행복과 기쁨을 느끼는 본성이 내재해 있음을 말해 준다.

 

당당히 도움받을 용기는 내가 가진 또 하나의 큰 힘이다

 

실제로 우리 주변에는 할 수만 있다면 기꺼이 타인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이러한 인간의 본성을 믿지 못하고 어려운 처지에 놓였음에도 소심해서, 용기가 안 나서, 자존심 때문에, 혹은 거절당할까봐 두려워 혼자 전전긍긍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또한 사실이다. 아무리 혼밥, 혼술이 유행이 된 요즘이지만, 누군가의 도움이 있다면 보다 수월하게 어려운 난관을 헤쳐나갈 수 있는데도 혼자 해결하려고 기를 쓰는 것은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자신이 가진 또 하나의 무기이자 큰 힘이라는 것을 모르고 사장시키는 거나 다를 바 없는 행동이다.

 

도움을 잘 받는 세 가지 원칙

 

세상에 별도움은 안 되었지만 세상으로부터 큰 도움을 많이 받아왔다고 말하는『혼자 다 하려 하지 마라』의 저자 홍재화는 그 숱한 도움을 받아오는 동안에 도움을 잘 받는 세 가지 원칙을 깨달았다고 한다. 첫째는 내가 나를 도와야 한다는 것, 둘째는 내가 도움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임을 보여줘야 한다는 것, 그리고 셋째는 내가 도움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끊임없이 알려야 한다는 것이다. 그 깨달음을 저자는 책에 속속들이 담았다.

 

요컨대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도움을 잘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그 전제조건은 본의 아니게 맞닥뜨린 어려운 난관을 헤쳐나가기 위해 도움을 받자는 것이지, 무한정 남의 온정에 기대자는 것은 아니다. 도움을 받는다는 것은 결국 주변의 착하고 너그러운 사람들에게 빚을 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제든, 어떤 방법으로든 그 고마운 마음을 돌려주는 것도 도움을 주고받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일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함께할수록 강해지는 도움의 위력

 

사람이 살아가면서 필요로 하는 것은 너무나도 많다. 하지만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다 가진 사람은 사실 별로 없다. 남들이 보기엔 넘치도록 많은 것을 가진 것 같아도 정작 그 자신은 세상에 불만이 많아서 전혀 행복하지 않은 사람도 있다. 돈이 많으면 사람이 없고, 사람이 많으면 시간이 없고, 시간이 많으면 할 일이 없는 등 부족한 것은 저마다 다르다. 그래서 내가 부족한 것은 남으로부터 받고, 내게 많은 것은 나누어주는 것이 바로 도움의 선순환이다. 그리고 이렇게 서로 도움을 잘 주고받는 사회가 잘 돌아가는 사회다. 함께할수록 강해지는 도움의 위력을 믿고 당당하게 도움을 요청하고, 아낌없이 도움을 주고, 나아가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지혜를 배워보자.

 

▶ 책 속으로

 

맹자는 인간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네 가지 마음, 즉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 중에서 측은지심은 불쌍한 사람에 대한 동정, 연민, 공감으로 마음 저 깊은 곳에서 우러나온다. 남의 고통과 결핍을 채워주려고 하는 인간의 마음, 못 본 체 지나칠 수 없는 인간의 본성인 것이다. 15~16쪽 <도움은 인간의 본성이다>

 

우리는 언제나 많은 문제에 봉착한다. 학습능력이 있는 우리는 어떻게든 적응하여 문제를 풀어낸다. 하지만 그 문제를 혼자 푸는 것보다 서로 도우면서 함께 푸는 능력이 더 중요하다. 남들이 가진 ‘좋은 수’를 배워 나에게 적용시키는 방법을 익힌다면 나를 둘러싼 복잡한 변화와 사회적 연결망을 부분의 합보다 더 크게 만들 수 있다. 42~43쪽 <사람을 소개해 주는 것도 큰 도움이다>

 

“당신에게 친절을 베풀었던 사람은 당신이 친절을 베푼 사람보다 다시 당신에게 친절을 베풀 가능성이 더 크다”는 미국 격언이 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벤저민 프랭클린 효과’라고 한다. ‘내가 왜 좋아하지도 않는 사람을 도우려고 나답지 않은 행동을 하고 있는 거지? 아마 내가 모르는 장점이 분명히 있을 거야’라며 상대를 싫어했던 마음을 떨쳐내려는 심리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너무 큰 신세가 아니라면 남에게 신세지는 것을 너무 어렵게만 생각할 필요는 없다. 92쪽 <친해지고 싶으면 도움을 청하라>

 

사회적 지원이란 의미있는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도움과 위로를 받는 것을 말한다. 이 사회적 지원은 역경을 극복하고 불행에 대응하기 위한 결정적인 요인이다. 내가 소중히 여기고 나를 잘 아는 모임에 나감으로써 필요로 하는 정보지원, 실제적인 지원, 정서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혼자서는 아무리 발버둥쳐도 어찌 해볼 수 없는 일도 이렇게 친구와 지인을 통하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180~181쪽 <모임에 불러줌을 감사하자>

 

죽이 맞는다, 장단이 맞는다, 가락이 맞는다는 말이 있다. 같이 일하는 사람이 서로 멋드러지게 잘 어울린다는 말이다. 도움을 주고받는 것도 그렇다.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잘 맞아야 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받는 사람이 잘 맞추어야 한다. 왜냐하면 주는 사람은 잘 주고자 노력하는데 받는 사람이 자신이 없거나 의도를 잘 몰라서 못 받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움도 실력이 있어야 잘 받는다. 또 나를 도와주려는 사람들의 마음을 알려고 노력해야 한다. 188~189쪽 <도움도 실력이 있어야 제대로 받는다>

 

‘이타적인 인간’의 행동은 언제나 있어왔다. 그렇다고 이타적인 사람이 세상의 모든 사람을 돕겠다고 나서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자신이 도와서 보상을 받거나 최소한 사회적으로 이득이 될 만한 사람에게 도움을 준다. 그렇다면 내가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남들에게 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가 충분히 도움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임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들은 자신의 이타적 행동이 최대한의 선을 이룰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205~206쪽 <당당하게 도움받을 용기를 갖자>

 

 

전화번호가 기억하기 쉽게 바뀌었습니다
02-922-6000
==========================
Jae-hwa Hong
http://blog.naver.com/drimtru
E-mail : drimtru@daum.net
Tel : +82-2-922-6000 Mp : 010-6744-385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