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사진

서독 동방정책, 미·영·프와 긴밀한 협조 유지하고 소련과의 관계도 중시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안착 
북·미 간 오해가 쌓이면서 갈등 커져… 특히 한국이 북·미 양국에 이전보다 더 적극적으로 접근해야 


광복절을 앞둔 12일 주일, 교계는 8·15의 의미를 새기며 감사하고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위해 거듭 염원했다. 일부에선 세계 교회와 남북 교회가 함께 만든 공동기도문을 읽으며 희망을 다졌다. 올 들어 4·27 남북 정상회담과 6·12 북·미 정상회담이 잇따라 열린 터라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향한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고조된 모습이다.

1948년 북한 정부수립 후 처음 열린 북·미 정상회담은 그야말로 빅뉴스였다. 군사적 충돌 직전까지 치달았던 사태는 극적으로 반전됐다. 다만 6·12 이후 꼬박 두 달이 지났는데 북·미 관계는 관심만큼 진전되지 못했다. 이에 6·12 비판론과 한반도 비핵화 비관론이 확산되고 있다. 급반전에 대한 기대치가 너무 높고 조급증이 넘친다.

지난해 7월 문재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구상을 담은 베를린 선언을 내놨고, 반년 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그에 호응했다. 핵보유국을 천명한 김 위원장은 자신감을 드러낸 듯하나 실은 핵 개발 이후에 대한 위기감이 작동했을 테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핵 문제 해결이란 공명심이 기묘하게 결합했다. 그 결과가 4·27, 6·12 정상회담이다.

이로써 한반도 평화를 위한 논의가 출발점에 섰다. 그로부터 겨우 두 달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불안해한다. 남·북·미의 갑작스럽고 기묘한 결합을 못미더워해서다. 지난 30년 동안 국제사회를 등지고 핵 개발을 해온 북한을 어찌 믿겠냐는 것이다. 게다가 트럼프의 좌충우돌 행보도 미심쩍어한다. 문 정부가 주장하는 한반도 운전자론에 대해서도 대체 한국이 독자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겠냐며 지레 한숨이다.

지나친 낙관도, 자기비하적인 비관도 바람직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한반도 문제 해결의 주체가 누구냐에 대한 인식이다. 기왕에 나온 한반도 균형자, 중재자 등의 역할을 강조하자는 게 아니다. 그런 표현은 정확하지 않고 오해의 소지도 크다.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국제정치 질서에서 한국이 균형과 중재를 말하는 건 공허하다.

한반도 운전자론도 주체인식은 분명하나 다소 배타적으로 비친다. 특히 미·중을 움직이자면 몸을 낮추고 실리를 좇는 지혜가 필요하다. 독일 통일을 구상하고 설계했던 에곤 바르(Egon Bahr, 1922∼2015)의 ‘접근을 통한 변화’ 정책을 참고하자. 우리에게 필요한 건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위한 접근, 역내의 협력적 공동체 구축을 위한 접근 등 이른바 접근자의 역할이다.

바르는 서독의 사민당 빌리 브란트 총리(재위 69∼74)가 내세운 동방정책의 실제 제안자다. 63년 그는 새로운 외교 구상을 발표했는데 핵심은 세 가지, 즉 소련의 영향력 인정, 국가로서 동독 인정, 독일 분단 극복의 전제는 동서 유럽의 긴장 완화다. 바르 구상은 브란트 집권 후 그대로 적용돼 동서 해빙 시대를 열었다. 특히 미국·영국·프랑스 등과 긴밀한 협조를 유지하고 소련과의 관계도 중시함으로써 동방정책을 성공적으로 안착시켰다.

당시 서독에서 브란트·바르의 동방정책에 대한 비판도 없지 않았다. 예컨대 동독을 용인하고 동서독 상호교류를 통해 대립이 완화된다면 이는 되레 분단 고착화를 야기하는 게 아니냐는 반발도 있었다. 그때마다 바르는 ‘통일, 준비는 하되 입 밖엔 내지 말라’면서 교류 확대를 꾸준히 추진하다 보면 통일이란 목표에 반드시 이를 것이라고 답했다.(안드레아스 폭트마이어, ‘에곤 바르와 독일 문제’, 2001)

오래 전 냉전시기, 게다가 전쟁을 일으켜 패전국이 될 만큼 강대국이었던 독일의 분단상황을 지금의 한반도와 단순비교 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바르의 현실주의, 특히 동구권의 패자인 소련을 활용하고 서구 각국과 긴밀한 협력을 얻어내는 등 최종 목표를 향한 치밀한 접근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목표를 향한 접근, 성취를 위한 관련국에의 접근은 정말 중요하다.

때마침 북·미 간 새로운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6·12 이후 후속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이달 들어 돌파구 모색 차원인지 정상 간 친서가 오갔다. 그간 후속 협상이 겉도는 까닭은 조급증도 문제지만 비핵화와 종전선언 연계 여부, 핵·미사일 시설 일부 파기에 대한 평가, 보유 핵탄두 신고 및 처리 문제, 제재 완화를 둘러싼 공방 등 다양한 이슈가 뒤섞여 있는 탓이 크다.

남·북·미 간 가장 중요한 건 신뢰다. 믿지 못해 서로의 주장이 오해를 낳고 쌓여 갈등을 키운다. 오해를 풀어줄 역할이 필요하다. 한국이 북·미를 향해 이전보다 더 적극적으로 접근해야 할 이유가 그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남북 경협의 시급함을 거론하고 통일대박을 외치는 소리에 대해서도 준비는 하되 신중한 접근을 유도해야겠다. 바로 접근자로서의 임무다.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502 [음악] 작곡가 사브리나의 오페라 갈라와 영화속의 클래식음악 OST file 중앙대총동문회 19.05.16. 2562
501 조용래(경제78) 부끄러움의 건너편 file 중앙대총동문회 19.04.11. 807
500 작곡가 사브리나(작곡79)가 읽어주는 오페라 이야기 1 file 중앙대총동문회 19.03.25. 852
499 [조용래 칼럼] ‘오래된 미래’ 3·1운동 100주년을 맞다 총동문회 19.02.25. 847
498 [조용래 칼럼] 2차 북·미 정상회담 외엔 길이 없으니 총동문회 19.02.12. 728
497 [조용래 칼럼] 한·일 불신 자초했거나 조장했거나 총동문회 19.02.01. 557
496 [조용래 칼럼] 끝은 다시 시작으로 이어질 테니 총동문회 19.01.02. 548
495 김판석(행정82) 능한 7·9급 공무원, 국장될수 있게…승진기회 확 넓힌다 총동문회 18.11.28. 987
494 우리 아이 자해(自害)하는지 확인하자 [출처] (교육칼럼) 우리 아이 자해(自害)하는지 확인하자 / 류시호 작가 | 총동문회 18.11.28. 672
493 [조용래 칼럼]日 배상책임 적시 못한 ‘한·일 청구권협정’ 한계성 지적 총동문회 18.11.22. 541
492 [조용래 칼럼] 대법 징용배상 판결 후 文정부의 전략은 총동문회 18.11.05. 551
491 [조용래 칼럼] 한반도 대전환의 불씨 키워가려면 총동문회 18.09.10. 587
» [조용래 칼럼] 통일, 준비는 하되 입 밖엔 내지 말고 총동문회 18.08.13. 630
489 어떻게 만들어온 원자력인데... 예서 그르칠 수는 없다! 너희들이 누구길래 ‘원자력없는 대한민국’으로 만들려 하는가 총동문회 18.08.02. 781
488 [조용래 칼럼] 한국 사람은 무엇으로 사나 총동문회 18.08.02. 648
487 통일준비와 심리적 문제 총동문회 18.08.01. 322
486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 티폰과 태풍 : 타이푼 등 총동문회 18.07.17. 698
485 [조용래 칼럼] 팍스아메리카나의 몰락 빨라지나 총동문회 18.07.17. 269
484 전기위원회, 어디로 가야 하나 file 총동문회 18.07.10. 651
483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 카오스에서 코스모스까지: 창세 이야기 총동문회 18.07.09.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