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사진

[조용래(경제78) 칼럼] ‘3金·2朴 시대’ 너머로 가는 길

“87년 체제 극복을 위해 새로운 바람 불어넣어줄 적임자로  박 대통령은 어떤가”

입력 2016-04-24 18:05

벚꽃·개나리 잔치는 끝났다. 잿빛 겨울을 박차고 나온 봄의 전령들은 화려했다. 꽃잎 흩날리는 벚꽃 엔딩은 몽환적이고 꽃자리를 잎에 내주는 모습은 종교적이기까지 하다.

우리 정치는 벚꽃처럼 격정적이고 개나리 색깔만큼 화끈하다. 4·13총선으로 드러난 깜짝 반전은 위대했다. 하지만 정치권은 여전히 제 몫 찾기에 혈안이라서 벚꽃 엔딩처럼 기대가 한순간에 스러질 수도 있겠다는 우려가 나온다.

돌이켜볼수록 한국의 산업화와 민주화는 세계적인 자랑거리다. 굽이굽이마다 벌어진 반전은 고통이고 기쁨이었다. 1960∼70년대 박정희 대통령의 개발독재 산업화와 반동으로 나타난 70, 80년대 민주화가 그것이다. 김영삼·김대중은 민주화 투쟁의 아이콘으로 박 대통령 사후 80년대 들어 김종필과 더불어 이른바 ‘3김 시대’를 열었다.

3김 시대는 87년 6월 민주항쟁을 통해 빛을 발한다. 김영삼과 김대중이 92년, 97년 연이어 대통령에 당선되고 김종필이 그 과정에 깊숙이 기여하는 등의 3김 시대를 거치면서 한국의 민주화는 완성 단계를 뽐냈다. 시민권은 확대되고 정권교체가 반복됐다.

 

 
하지만 ‘87년 체제’는 적잖은 문제를 담고 있다. 5년 단임제는 장기집권 방지엔 유효했지만 정책의 연속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무엇보다 대통령의 권한 집중에는 속수무책이다. 제왕적 대통령제의 문제점이 끊임없이 지적되는 이유다.

4·13총선에서 여당의 참패가 기실은 박근혜 대통령의 일방적 통치 스타일에 대한 심판임을 감안하면 이제는 87년 체제 너머를 더 이상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과거 한국정치사의 굵은 줄기가 산업화·민주화의 측면에서 ‘박정희와 3김 시대’로 요약됐던 것처럼 이제 87년 체제 이후 권위주의 시대의 종언을 포함한다면 ‘3김+2박 시대’로 명명될 수도 있겠다.

다행히 4·13 이후 여야 정치권에서 87년 체제 극복이 조금씩 거론되기 시작한다. 의제도 다양하다. 중대선거구제, 의원내각제 도입 등 권력구조 개편을 비롯해 산업화·민주화 이상으로 중요해진 사회 변화를 담아 정보화·생명·평화·복지와 같은 공동체적 가치 구현을 위한 새로운 제도적 장치와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제도 이상으로 중요한 것은 책임정치를 위한 정치권의 다짐이요, 좋은 정치를 실현하려는 의지다. 소선구제와 중대선거구제만 보더라도 어느 쪽이 더 효율적인지 가늠하기 어렵다. 예컨대 95년부터 중대선거구제를 소선거구·비례대표제로 바꾼 일본을 보자. 양당체제 구축 및 자민당 내 파벌 철폐를 위한 제도 개혁이었다. 하지만 다당제 틀은 아직 공고하고 자민당 파벌정치도 그대로다. 무엇보다 득표율 대비 의석수의 언밸런스가 심각하다.

거꾸로 중대선거구제는 만년 2등 후보(정당)가 엉거주춤이라도 뽑힐 수 있다는 점에서 책임정치의 취지를 무색하게 하기도 한다. 제도의 진화는 계속 추구해야겠지만 제도만으로 새 시대가 열리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한국도 3당 내지 다당제의 틀이 이미 모습을 드러내고 있고, 유권자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내자면 소선거구제로는 한계가 있다.

20대 국회가 정개특위를 서둘러 마련해 권력구조 개편을 비롯한 다양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일각에서는 경제구조 개혁이 우선이니 정치 개혁은 뒤로 미루자는 주장도 나오지만 정치권이 진정성과 의지만 있다면 정치·경제 개혁은 충분히 함께 추진할 수 있다고 본다.

문제는 책임감 있게 변화의 새 바람을 불어넣어줄 적임자다. 박근혜 대통령은 어떤가. 그가 남은 임기를 ‘3김·2박 시대’ 너머로 가는 길을 여는 데 집중한다면 그야말로 사랑받는 대통령으로 떠오를 터다. 본격적인 꽃 잔치 한 번 봤으면 좋겠다.
 
조용래 편집인 jubilee@kmib.co.kr
번호 분류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502 [음악] 작곡가 사브리나의 오페라 갈라와 영화속의 클래식음악 OST file 중앙대총동문회 19.05.16. 2638
501 김판석(행정82) 능한 7·9급 공무원, 국장될수 있게…승진기회 확 넓힌다 총동문회 18.11.28. 1029
500 작곡가 사브리나(작곡79)가 읽어주는 오페라 이야기 1 file 중앙대총동문회 19.03.25. 886
499 [조용래 칼럼] ‘오래된 미래’ 3·1운동 100주년을 맞다 총동문회 19.02.25. 878
498 조용래(경제78) 부끄러움의 건너편 file 중앙대총동문회 19.04.11. 840
497 어떻게 만들어온 원자력인데... 예서 그르칠 수는 없다! 너희들이 누구길래 ‘원자력없는 대한민국’으로 만들려 하는가 총동문회 18.08.02. 824
496 박시호의 행복편지 며느리에게보내는글(박시호의 행복편지) file 국중현 17.10.13. 780
495 중앙대병원 신경과 윤영철(의학93졸) 교수의 ‘암보다 무서운 치매’ 총동창회 18.03.26. 780
494 [조용래 칼럼] 2차 북·미 정상회담 외엔 길이 없으니 총동문회 19.02.12. 762
493 우리 아이 자해(自害)하는지 확인하자 [출처] (교육칼럼) 우리 아이 자해(自害)하는지 확인하자 / 류시호 작가 | 총동문회 18.11.28. 705
492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 티폰과 태풍 : 타이푼 등 총동문회 18.07.17. 703
491 [조용래 칼럼] 한국 사람은 무엇으로 사나 총동문회 18.08.02. 686
490 [조용래 칼럼] 통일, 준비는 하되 입 밖엔 내지 말고 총동문회 18.08.13. 665
489 전기위원회, 어디로 가야 하나 file 총동문회 18.07.10. 651
488 [조용래 칼럼] 한반도 대전환의 불씨 키워가려면 총동문회 18.09.10. 621
487 [조용래 칼럼] 한·일 불신 자초했거나 조장했거나 총동문회 19.02.01. 592
486 [조용래 칼럼] 대법 징용배상 판결 후 文정부의 전략은 총동문회 18.11.05. 581
485 [조용래 칼럼]日 배상책임 적시 못한 ‘한·일 청구권협정’ 한계성 지적 총동문회 18.11.22. 579
484 [조용래 칼럼] 끝은 다시 시작으로 이어질 테니 총동문회 19.01.02. 579
483 박기철 (광고홍보 79)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 - 영웅과 위인 : 영웅전이란 허구 총동문회 18.07.03. 492